본문 바로가기
Daily Issue

[야생진드기 이슈] 살인진드기 사망자 확인 & 야생진드기 예방법.

by 가온다's BLOG 2013. 5. 21.
반응형


카테고리 : Daily Issue
제목 : [야생진드기 이슈] 살인진드기 사망자 확인 & 야생진드기 예방법 간략 정리.

중국 발, 일본 경유로 알려져왔던[각주:1] 살인진드기 바이러스의 존재가 국내에서도 확인되었다는 뉴스에 이어,

 

국내에서도 야생진드기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 의심 환자가 발생했으며 그 감염 의심환자가 사망했다는 뉴스까지 이미 전해들으셨을 텐데요.

 

오늘자 야생진드기(일명, 살인진드기) 관련 뉴스에 따르면, 질병관리본부가 "국내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를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하고요, 이로써 살인진드기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자 발견이 처음으로 공식화되어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국내 첫 SFTS 확진 케이스.

 

다만 이 환자의 경우, 직전에 뉴스로 보도된 감염 의심 사망자 사례가 아닌 그 이전의 일로, 살인진드기 바이러스에 감염시 나타날 수 있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과 유사한 증상을 보였으나 질병 원인을 확인하지 못한 채 사망, 이후 최근의 역추적조사를 통해 SFTS 감염이 확인되었다고 하는데요.

 

 

살인진드기 바이러스.

 

최근 들어 갑자기 이슈화가 되고 있기는 하지만, 실제 야생진드기 바이러스의 매개체인 작은소참진드기는 이전부터도 국내에서 서식해왔던만큼, 뭔가 새로운 사건의 발생이라고 보기는 힘들지 않을까 싶고요.

 

살인진드기 바이러스로 인해  발열, 소화기 증상,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까지 한다고 해도, 치사율이 10% 정도 안팎일 거라고 하니까 매우 심각한 질병이라고 하기는 또 좀 애매하지 않겠나 싶기도 한데요.

 

다만, 마침 지금이 살인진드기라 불리는 작은소참진드기가 시기적으로 왕성히 활동할 때이고, 현재까지 야생진드기 바이러스와 그로 인한 SFTS(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를 막을 수 있는 백신이나 항바이러스제가 찾아지지 않은만큼,

 

원인이 되는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는 있겠습니다.

 

 

* 야생진드기 바이러스 예방법 *

 

현재까지 추천되고 있는 방법이라는 건,

 

1. 긴옷을 입고 양말을 신는 등, 가급적 풀밭 등에 직접 피부 노출 및 접촉이 되지 않게끔 하는 것.

 

2. 야외활동 후에는 곧바로 옷 세탁, 사람 샤워 ㅋ.

 

3.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진드기 기피제 사용, 이 정도가 있겠는데요.

 

4. 기본적으로 진드기가 햇볕에 약하다고 하니까, 진드기가 염려스럽다면 햇볕 활용해서 진드기 퇴치.

 

5. 기존에 집먼지진드기 없애는 방법으로 잘알려진 계피스프레이 만들어서 이용하는 방법,,, 등도 활용해봄직하지 않겠나 싶네요.


포스트 주소 : http://middlec.tistory.com/757 작성자 : 가온다
- 각주 -
  1. (지난 2년여간 중국에서는 2천여명의 SFTS 감염환자가 확인되어 그중 100여명이 사망했고, 이후 일본에서도 SFTS 환자가 발견되기 시작해 최근 수명이 사망했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본문으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