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ily Issue

[영유아 수족구병 급증] 수족구병 원인, 수족구병 증상, 수족구병 예방법.

by 가온다's BLOG 2013. 6. 17.
반응형


카테고리 : Daily Issue
제목 : [영유아 수족구병 급증] 수족구병 원인, 수족구병 증상, 수족구병 예방법.

어느 때부턴가 거의 매해, 여름과 가을철이면 '수족구병이 급증해 문제가 되고 있다'는 뉴스를 접하곤 했었는데요.

 

올해는 전년도에 비해 조금 이른 듯한 지금부터도 수족구병 급증 뉴스가 들려오고 있네요.

 

 

수족구병 환자 급증.

 

질병관리본부가 지난 5월 19일부터 25일까지 일주일간에 걸쳐, 전국의 395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수족구병 표본을 감시한 결과, 수족구병 의사 환자의 발생율이 지난해 동기간에 비해 2배 이상 급증한 1000명당 10.8명인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하는데요.

 

그런 가운데 특별히 더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환자의 92.1%가 만 5세 이하의 영유아에 해당한다는 것.

 

 

그러면, 수족구병 원인은 무엇이며, 증상은 어떠한지, 수족구병 예방을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정리를 좀 해두도록 하겠습니다.

 

수족구병 원인 및 증상.

수족구병은 장바이러스의 일종인 '콕사키바이러스A16' 또는 '엔테로바이러스 71'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가벼운 미열과 함께, 병명에서도 설명이 되고있는 것처럼 손과 발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고, 혀와 잇몸 뺨 안쪽의 점막 등에도 물집이 잡히는 증상을 보인다고 하는데요.

보통의 경우는 수족구병이 발병한다고 해도 수일이 지나면 자연 회복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영유아나 신생아처럼 면역체계가 제대로 발달되지 않은 아이들에게는 심하면 무균성 수막염, 뇌염 등이 발생하기도 하고, 더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도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수족구병 예방법.

그런데 영유아 수족구병 급증과 관련하여, 또하나 문제랄 것은 (요즘 한창 이슈가 되고 있는 야외진드기처럼) 수족구병 역시도 현재까지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는 건데요.

때문에 수족구병의 경우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하겠습니다.

* 수족구병 예방 수칙

1. 손씻기 등의 개인위생 철저.

2.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 기타 물품 소독 철저.

3. 전염력이 강한 질병인만큼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과 배설물, 세탁물 등의 관리를 철저히 해서, 바이러스가 타인에게 전파되지 않도록 주의.

4.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즉시 의료기관에 가서 진료를 받고, 바이러스를 타인에게 전파시키지 않도록 환자는 격리 치료를 해야한다.


포스트 주소 : http://middlec.tistory.com/765 작성자 : 가온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