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카테고리 : Daily Issue
제목 : [도로교통법 문자, 도로교통법 스미싱 주의, 스미싱 사기 주의] 도로교통법 위반 사건 문자의 인터넷 주소 링크는 30만원 소액결제 사기니 클릭하지 마세요.
제목 : [도로교통법 문자, 도로교통법 스미싱 주의, 스미싱 사기 주의] 도로교통법 위반 사건 문자의 인터넷 주소 링크는 30만원 소액결제 사기니 클릭하지 마세요.
모바일 결혼식청첩장, 돌잔치 문자 등을 사칭한 스미싱이 큰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도로교통법 스미싱 문자'가 시중에 돌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신종금융사기.
불과 몇년 전만 하더라도 개콘 황해 식의 '보이스피싱' 방식이 주를 이뤘었는데,
이후 피싱이니 파밍이니 하는 온라인 기반 사기 방식이 생겨나더니,
급기야 요즘은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스미싱 사기까지 아주 극성인데요.
특히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스미싱은 '도로교통법 위반 사건 문자'를 가장한 것으로, 도로교통법 위반사건(2013형 제330=13220호 기소내용본문 http://*****.com) 이라는 문구로 보내지는 것이 특징이고, 1
만약 위 링크 주소를 클릭하게 되면, 문자 수신자의 스마트폰에 불법 애플리케이션이 깔리면서 30만원의 소액결제가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그런데 지금 문제로 떠오른 '도로교통법 위반 사건 문자'와 관련, 뉴스를 보니 경우에 따라서는 실제 경찰에서도 이와 유사한 문자가 보내지기는 하는 모양.
다만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만약 실제로 경찰이 출석요구 문자를 보내는 경우에는 해당 문자에 담당경찰관의 이름이 함께 명기됨은 물론이고, 인터넷 주소 링크 또한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하니까, 2
혹시나 이후로 스마트폰에서 위 문구 혹은 이와 유사한 문구의 '도로교통법 위반 사건 문자'를 받으신다면 링크를 절대로 클릭하지 않으셔야겠습니다. 3
포스트 주소 : http://middlec.tistory.com/945 | 작성자 : 가온다 |
- (Smishing = SMS + fishing) [본문으로]
- (인터넷 주소 관련해서는 굳이 이런 설명이 보태지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정부 기관에서 보낸 거라면 인터넷 주소 뒷 부분이 go.kr 정도인 게 보통이지 않을까 싶고요, 최소한 '닷컴' 주소는 영 아니지 않나 싶네요. ㅋ) [본문으로]
- (참고로, 아시다시피 아이폰이야 이런 문제로부터는 상당히 자유로운 편이겠고, 문제 가능성이 있다면 안드로이드계열 폰이 되겠는데요. 조금 번거로울 수도 있겠지만 평소에 '알 수 없는 출처의 소스프로그램'은 설치가 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을 해두시면 스미싱 피해를 피해갈 수 있겠습니다.) [본문으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