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스미싱 사기, 스미싱 주의보] 휴대폰 소액결제 피해, 스미싱 방지 및 예방법은?
휴대폰 소액결제 사기인 스미싱에 대한 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
스미싱(Smishing)'이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1
뉴스에 따르면, 대한주부클럽이 지난 해 스미싱 피해로 상담한 건수가 250건으로, 전년 대비 46~47% 정도나 증가했다고 합니다. 2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통한 소액 결제 사기, 스미싱.
그러면, 관련 뉴스에 소개된 스미싱 피해 사례부터 하나 정리를 해보았으면 하는데요.
스미싱 피해 사례
인터넷 사이버 머니 결제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 옴
->
메시지 발신번호로 전화해 결제 사실 없다며 취소 요청
->
문자 보낸 곳에서는 지정한 애플리케이션 설치 후 승인번호 입력하면 결제 취소될 것이라 설명
->
알려주는 대로 앱 설치 및 승인번호 입력
->
알고 봤더니, 실제 자동결제 승인은 이 마지막 과정에서 이루어져서, 결국 스미싱 피해 당함.
안타깝게도 현재로써는 스미싱 사기 피해를 당한 경우, 실질적인 구제를 받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하고요.
따라서 이와 같은 스미싱 사기 피해를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그 유형들을 미리 익혀두고, 자신에게 이런 시도가 닥쳐왔을 때 속지 않는 것이 가장 확실한 대처법이 되겠습니다.
그러면 '스미싱 사기 방지법', 나름대로 정리를 좀 해둘테니 참고하셔도 좋겠습니다.
피싱 및 스미싱 사기에 대처하는 방법.
1. 혹시모를 갑작스러운 상황에 대비해(이성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대표적인 피싱 및 스미싱 유형들을 미리 파악해둔다. 3
2. 의심스러운 전화나 문자를 받은 경우, 받은 번호로 문의할 것이 아니라 우선은 통신사에 문의한다. 4
3. 유명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개인정보 및 결제를 유도하는 의심스러운 상황을 만난 경우에는, 해당 주소가 진짜인지 혹은 유사 주소인지부터 확인,
링크 걸린 사이트가 아닌 포털 검색창을 이용해 직접 찾아들어가는 방법으로 가짜와 진짜 사이트 구분해 이용한다.
4. 잘 모르는 곳에서의 휴대폰 문자 인증 요청이나, 인터넷 사이트 상에서의 개인정보 입력 유도에 응하지 않는다. 5
5. 평소 휴대폰 소액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신사에 '핸드폰 소액결제 방지'를 신청해둔다.
개인적으로도 온라인 결제 시에 안심결제나 공인인증서를 통한 결제만 해왔었지, 핸드폰 소액 결제 방식은 이용을 하지 않아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신경을 전혀 안쓰고 있었는데요.
오늘 이 뉴스를 접하면서 알게 된 사실, 통신사의 핸드폰 소액 결제 한도가 상당하더라고요.
그런만큼 저처럼 휴대폰 소액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분들은 미리 통신사에 연락하셔서 '핸드폰 소액 결제 방지 신청'을 해두시는 것이 좋겠고, 평소 핸드폰 소액 결제를 이용하시는 분들도 한도를 적절히 조정해둔다거나 하는 방법으로 스미싱으로 인한 피해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최대한 방지하고 줄여나갈 필요가 있지 않겠나 싶습니다. 6
포스트 주소 : http://middlec.tistory.com/591 | 작성자 : 가온다 |
- (phishing은 'private data' + 'fishing'의 합성어, 그러고보면 시대가 급변함에 따라 신조어도 참 많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본문으로]
- (소액 결제 금융 사기, 때문에 피해액이 크지 않아서인지 신고건수가 아주 많지는 않았지만, 그 증가세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은 확인을 할 수가 있겠습니다.) [본문으로]
- (ㅁㅁ은행 등을 거론하며 해당 사이트에서 정보유출이 있었다는 문자, 우체국 사칭, 전화국 사칭, 검찰청 사칭. 이런 전화 및 문자는 대표적인 피싱 사례들인만큼 기억해 두시면 좋겠습니다.) [본문으로]
- (우체국 기타 기관에서 온 전화나 문자도 폰에 찍힌 번호 말고 해당 기관의 대표번호로 직접 문의하는 것이 정확한 방법 아니겠나 싶습니다.) [본문으로]
- (본인의 필요에 의해 이런 인증들을 해야하는 상황은 있을 수가 있지만, 잘 모르는 상대방이 뜬금없이 연락해서 이런 인증을 요구한다면 일단은 확인부터 하는 것이 순서가 아니겠나 싶습니다.) [본문으로]
- (저도 내일 당장 114에 전화해서 '휴대폰 소액 결제 방지 신청'을 해둘 생각이네요.) [본문으로]
'Daily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싸이 가사 자막 포기] 싸이도 인정한 스마트한 자막은 'SINGING IN KOREAN' ㅋㅋㅋ. (0) | 2013.01.21 |
---|---|
[우리나라 성씨 본관 순위] 이슈 출처 찾아봤더니, 2000년 통계청 인구조사 자료. (2) | 2013.01.21 |
[복터진 96년생들 왜?] 96년생 월드컵 아시안게임 동계올림픽 & 수능, 이 조합 어쩔ㅡㅋㅋ. (0) | 2013.01.20 |
[레미제라블 한글 제목] 레미제라블 백년전 첫 한글버전 제목은 '너 참 불상타'. (0) | 2013.01.19 |
[노로바이러스 확산, 노로바이러스 주의보] 노로바이러스 급증하고 있으나, 증상, 예방, 치료 정보 알고 주의하면 큰 문제 없을 듯. (0) | 2013.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