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벌 쏘임 주의] 벌쏘임 예방법, 벌침 제거법 기타 벌에 쏘였을때의 대처법.
얼마 전부터 벌 쏘임 피해와 관련한 뉴스들이 상당히 많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통상 '벌을 조심하라'는 말은 가을 추석 즈음해서 들어왔던 듯 한데요.
올해는 7월 시작되면서부터 벌써 말벌로 인한 피해 사례가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요망되고 있습니다.
한편 오늘은 벌의 종류는 언급되지 않은 채,
강원도 산간마을을 운행하던 농어촌버스 운전자가 벌에 쏘여 하마터면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할 뻔 했다는 뉴스.
말벌에 쏘인 버스운전사가 버스를 길가 나무에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는 오늘 18일 오후 2시 11분경,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의 비포장도로를 달리던 농어촌버스에서 일어났는데요.
버스가 멈춰선 곳 바로 옆이 계곡이라 하마터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었으나, 다행히 승객 13명 중 대부분이 버스에서 자력으로 탈출을 했을 뿐만 아니라 큰 부상도 입지 않았다고 합니다.
한편, 벌에 쏘인 버스 운전자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운전중 벌에 의한 쇼크, 운전자도 승객도 정말 큰 일 날 뻔 했는데, 어쨌든 심각한 인명피해 없이 사고가 마무리되었다고 하니 천만다행한 일이다 싶습니다.
그리고,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시즌 13번째 대회인 '제주 삼다수 마스터스 1라운드 경기에 참가한 홍란 선수가 17번홀 그린에서 벌에 쏘이는 사고를 당했다는 뉴스까지,
벌 쏘임과 관련하여 두 건이나 뉴스로 보도가 되었는데요.
해서 이 포스트에서는 벌 쏘임 예방법과, 벌에 쏘였을 때의 대처법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를 좀 해보고자 합니다.
벌 쏘임 예방법.
검색 신공을 발휘한 결과를 요약해보면, 벌에 쏘이지 않기 위해서는 야외로 나갈 때 밝은 색상의 옷과 자극성 강한 향을 가진 화장품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하고, 또한 벌통이나 벌떼가 보인다면 접근을 피하고, 만약 벌이 근접해 있는 경우에는 가만히 있는 것이 동작을 크게 하는 것보다 오히려 더 안전하다고 합니다.
벌에 쏘였을 때 응급처치.
그렇다면 만약 벌에 쏘였을 때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벌에 쏘이게 되면 보통 그 주변이 붓게 되면서, 통증도 동반하게 되는데요. 그러나 대개는 별다른 처치 없이도 점차 호전이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구토 설사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또는 급작스런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나타날 수도 있다고 합니다. 1
따라서 벌에 쏘였을 때는 아래와 같은 정도의 대응을 하시면 되겠는데요.
2. 쏘인 부위에 피가 난다면 지혈을 하고, 쏘인 부위는 깨끗이 씻은 후 찬물에 담그거나 얼음팩으로 찜질해준다.
3. 물파스 등 벌레 물린데 바르는 약을 바른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벌에 쏘인 후에는 몸의 상태를 잘 살펴 조금이라도 이상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곧바로 인근의 병원이나 약국으로 고고씽하는 것이 되겠습니다. 3
포스트 주소 : http://middlec.tistory.com/1279 | 작성자 : 가온다 |
'Daily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만 항공기 사고] 대만 항공기 착륙사고로, 47명 사망 11명 부상. (0) | 2014.07.24 |
---|---|
[열차 사고, 기차 사고] '태백 열차 충돌 사고'로 인한 철도 복구 완료돼 '태백선 운행 재개'. (0) | 2014.07.23 |
[말레이시아 여객기 추락] 말레이시아 여객기, 우크라이나 반군이 쏜 미사일에 격추 당해 탑승자 전원 사망 추정. (0) | 2014.07.18 |
[부산지하철 화재, 부산지하철 1호선 불] 부산 지하철 시청역에서 전동차 화재 발생, 승객 전원 대피. (0) | 2014.07.17 |
[광주 헬기 추락 사고, 광주 추락헬기] 광주 도심에서 소방헬기 추락사고 발생, 헬기 탑승자 5명 전원 사망. (0) | 2014.07.17 |
댓글